경제관련아무말

한미 금리역전을 그냥 놔둬도 되나?

낡은사람 2022. 7. 28. 13:28
반응형

오늘 미국 기준금리가 자이언트 스텝을 밟음에 따라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되었다. 이미 수차례 언급했지만 한국 정부는 금리가 역전되어도 한국 경제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별다른 대응이 없다는 의미로 생각된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26288 

 

한은 "정책금리 역전에도 하반기 외국인 자금 유입 예상" - 연합인포맥스

(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 = 한국은행은 우리나라와 미국 간 정책금리 역전에도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이 올 하반기 유출되기보다 소폭 유입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한은은 28일 발간한 '금

news.einfomax.co.kr

한은도 정부와 입을 맞추는 느낌이다.

그렇다면 정말 그냥 놔둬도 되나?

사실 전문적인 분야가 아니라 단언할 수가 없는 말이다. 그저 외부의 기사들을 살펴보고 입장을 정리하는 수순이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26134 

 

한경연 "美 적정 금리 3.12% 추정 시 韓 3.65%까지 인상 우려" - 연합인포맥스

*그림*한국 기준금리 1.4%p 인상 시 예상 가계대출 이자부담 증가[한경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한국이 미국 적정 기준금리를 추종할 경우 3% 중후반 때까지

news.einfomax.co.kr

현 정부의 주장대로 금리 역전 자체가 외화 유출의 트리거가 아니라는 것에 동의하는 내용을 일부 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역전 상태를 놔둬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훨씬 많이 찾을 수 있었다. 즉 역전 자체를 쉽게 넘길 수 없다는 것에 비중이 실린 것 같다.

생각해보면 단순하다. 안 그래도 한국 같은 신흥국 보다 더 믿을 수 있는 미국의 채권이 더더욱 매력적인 이자를 준다고 한다면 당연히 미국 채권을 사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리고 반대로 한국의 채권은 소외될 확률이 높아진다. 결국 이는 외화 유출과 원화 약세로 이어지고 원/달러 환율은 더더욱 오를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그러면 기껏 국제 물가가 잡혀도 환율 문제로 한국은 여전히 고물가가 이어지고 이걸 잡으려다 결국 경기 침체에 이어 불황까지도 걱정해야 할지도 모른다.

물론 단순한 생각이라서 그렇고, 사실 이보다 더 복잡한 인과관계가 있을 것 같기는 하다. 다만 내가 그걸 잘 모른다는 것이 문제다. 어쨌든 불황까지는 가지만 않았으면 좋겠다.

앞서 한국 정부가 별다른 대응이 없는 것 같다고 불만투로 이야기 하긴 했는데, 정부는 그래도 한국은행은 아마 가만히 있지는 않을 거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26266 

 

한은 부총재 "韓美 정책금리 역전…자본 유출입·환율 모니터링 강화"(상보) - 연합인포맥스

"시장 변동성 크게 확대시, 적시에 시장안정조치"(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이승헌 한국은행 부총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으로 한·미 정책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하면

news.einfomax.co.kr

채권 인기가 시들하면 대신 한은이 사들여서라도 근근히 유지하며 미국의 기준 금리 인하가 올 때까지 견디면 될지도 모른다. 그렇다고 그게 고통스럽지 않느냐면 그건 또 아니겠지만 말이다.

다음 금통위 회의는 8월 25일이며 이 때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가 인상도 발표될 것 같다. 금리 인상은 사실상 확정적이겠지만 과연 얼마나 오를지는 아직은 확답할 수는 없을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