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적분할 5

물적분할과 인적분할

물적분할 한 기업의 특정 사업부가 별도의 자회사로 분사할 때 모회사가 자회사의 지분을 100% 보유하는 형태로 분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적분할 한 기업의 특정 사업부가 별도의 자회사로 분사할 때 분사된 자회사의 주주 구성 비율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분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분사할 때 모회사의 지분이 자회사에 각 주주 별로 정해진 비율대로 나눠진다. 다르게 말하자면 회사는 분할되지만 주주들의 여전히 모회사와 자회사 둘 다 소유하는 것이다. 몇 년 전부터 카카오 등의 유명 대기업에서 물적분할 후 상장으로 인해 주가 하락으로 큰 피해를 본 개인투자자들의 이야기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도대체 이런 악독한 물적분할 같은 걸 왜 하는 걸까? 사실 물적분할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말 그대로 지분을 ..

경제상식 2022.07.20

지금 보니 정말 전문가였던 그들

한 때 카카오뱅크 IPO 때 어떤 증권사가 목표가를 처참하게 낮춰서 리포트를 냈다가 항의를 받고 리포트가 삭제된 일이 있었다. 또 사라진 리포트···BNK투자증권에 무슨 일이? - 뉴스웨이 지난 6일 상장한 카카오뱅크가 고평가 논란에도 불구하고 ‘금융 대장주’ 자리를 굳혀가고 있는 가운데, 앞서 BNK투자증권이 카카오뱅크의 공모가가 지나치게 높다고 지적한 리포트가 삭제되 www.newsway.co.kr 그리고 오늘 카카오뱅크의 가격은 이렇다. 주가는 정말 그때 그들이 이야기했던 가격으로 가고 있다. 이젠 정말 그들이 진짜 전문가였다고 느껴질 따름이다. 리포트에서 안 좋은 소리 했다고 증권사 욕하는 일이 일단 사라져야 할 것 같다. 건전한 주식시장을 만들기 위해서 너무나 많은 개혁이 필요한데 그것 중 하나..

카카오는 그만 좀 하자

카카오가 물적분할해서 상장한 카카오게임즈가 자회사를 또 물적분할 후 상장한다는 소식이야 이미 알려진 지 오래다. 그 이후로 주가가 영 힘을 못 쓰고 말이다. 카카오게임즈, '우마무스메' 흥행…자회사 상장 디스카운트 해소할까 - 연합인포맥스 *그림1*우마무스메 양대 앱마켓 1위카카오게임즈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연합인포맥스) 박경은 기자 = 카카오게임즈의 신작 '우마무스메:프리티더비'(우마무스메)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핵 news.einfomax.co.kr 겨우겨우 카카오게임즈의 기대작이 하나 출시되었다. 애플 쪽 매출은 좋게 나온 모양이다. 그래서 뭐? 물적분할 후 상장이라는 희대의 쓰레기 짓이 개인 주주들에게 욕먹을 짓이라는 거 뻔히 알고 있을 텐데도 아직 물적분할은 취소하지 않았다. 어느 ..

네이버의 물적분할 흔적

개인적으로 네이버에 투자하고 있었는데 이유가 있다. 네이버에서 떨어져 나온 물적분할 후 상장된 종목이 안 보였기 때문이다. 카카오의 무한 물적분할에 심하게 데어서 상처가 아직 남아있기 때문에 물적분할이 없다는 이유만으로도 괜찮은 기업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물론 펀더멘탈도 튼실한 회사였으니 더더욱 매력적으로 보였다. 물적분할 후 상장은 정말 악독한 쓰레기 짓이다. 초기 투자자들 배만 채우고 정작 소액주주들에게 큰 손해를 입히는 일이다. 물적분할을 하고 싶다면 상장을 못 하게 하는 법안이라도 있어야 하는 게 아닐까 할 정도로 심각한 범죄급 행위라고 생각한다. 뭐 여기까지만 알았다면 그럭저럭 내 행위가 정당하다고 대변될 수도 있었다. 그런데 네이버도 비슷한 역사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이 글을 쓰게 되었..

KT도 물적분할 하나?

아래가 문제의 기사다. KT, 연간 높은 이익성장 및 배당증가 기대 - 인포스탁데일리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 1분기 KT가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면서 2022년 연간 높은 이익 성장과 배당 증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하나금융투자는 3일 KT에 대해 외국인 수급 상황 www.infostockdaily.co.kr 좋은 내용일 것으로 예상되는 제목의 기사 내용에 아래와 같은 찬물을 끼얹는 내용이 보인다. 하나금융투자에 따르면 KT는 본사에 전체 자산의 50% 이상을 남겨두고 영업조직을 물적 분할하는 방식의 지배구조개편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 물적분할 후 IPO. 이제 개미라면 다들 알 법한 단어다. 소액 주주들 돈을 대주주 배불리기에 쓰는 못된 짓이다. 이미 카카오와 LG화학에 너무 크게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