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MI 2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ISM(The Institute of Supply Management, 공급관리자협회) 제조업 PMI(Purchasing Management Index, 구매관리자지수), 줄여서 "ISM 제조업지수"는 ISM이라는 어떤 단체에 소속된 회원들에게 설문조사를 해서 산출하는 PMI 지수다. 제법 영향력이 있는 여러 기업의 자재 관리인 대상으로 구한 여러 데이터를 이용한 산출한 지수이기에 경기를 판단할 때 큰 의미를 두는 편이다. PMI이기 때문에 동일하게 50을 기준으로 잡는다. 만약 50 이상이면 경제 활동이 활발한 것이고, 반대로 50이하로 내려가면 기업이 위험해질 수 있는 상황이다. 보통은 이 지수가 50 이하로 떨어졌을 때 연준이 나서서 도와준다 - 즉 금리를 내린다 - 고 알려진 지수다. 현재의 금리..

경제상식 2022.07.04

CPI, Core CPI, PMI란?

CPI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 기준의 물가 지수다. 일반 소비자 즉 가정이나 개인이 느끼는 인플레이션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Core CPI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CPI에서 에너지나 식료품 같은 것을 제외한 물가 지수다. 대부분의 상품이나 서비스 가격 변동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PMI (Purchasing Management Index,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 제조업, 즉 소비자가 아닌 생상자 입장에서의 인플레이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 생산에 필요한 물품을 구매할 때 얼마나 비싸게 사는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게 소비자에게 전가되면 CPI도 오른다고 볼 수 있다. 즉 PMI는 CPI의 선행 지표로 삼기도 한다. PMI는 50을 기준으로 경기 위축과 확..

경제상식 2022.06.2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