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당 3

네이버 배당 얼마나 받을 수 있나?

네이버가 주주 환원 정책으로 자사주 매입이나 소각 대신 배당을 하기로 결정한 모양이다. 과연 실제로 받는 배당금은 얼마나 될까? 기사 기준으로 1371억 원을 배당한다고 한다. 이를 발행 주식 수로 나누면 주당 배당금이 나올 것이다. 네이버의 주식 수는 164,049,000개다. 137100000000 / 164049000 = 835.7259... 그러니까 주당 대충 세전으로 835원 정도를 받게 된다. ...? 작년에는 한 주당 511원을 줬으니까 올해 835원 이면 무려 63%나 배당금이 증가했다. 이런 놀라운 일이! ... 하아 위 스크린샷에 찍힌 가격 기준으로 한 주당 배당수익률을 계산해보면 0.3%다. ...? 그냥 매입해서 소각하는 게 어떨까 진지하게 고민해본다. 틀렸으면 여러분의 말이 맞습니다.

배당수익률이란?

배당수익률은 한 주당 배당금의 비율이다. 대충 무슨 의미인지 느낌이 올 만한 단어라 굳이 설명할 필요가 있을까 싶지만 말이다. 배당수익률 = 주 당 배당금 / 주가 배당수익률은 독특한 특징이 있는데 배당금 자체가 올라가도 올라가지만 주가가 떨어져도 오른다. 그래서 배당 위주의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주가보다는 배당수익률을 보고 투자하는 경우도 있다. 비슷하게 주가 차익으로 수익을 얻길 원하는 이들도 간혹 배당수익률을 참고하기도 한다. 배당수익률이 높아졌다는 것은 주가가 저평가 상태라는 의미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당연하겠지만 배당금의 금액 자체의 결정은 주가와는 관련이 없다. 배당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히 순이익이고 이를 배당과 연관지은 것이 바로 배당성향이다. 배당수익률이 오르거나 내린다고..

경제상식 2022.05.28

배당성향이란?

배당성향은 배당을 얼마나 줄지를 의미하는 지표로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도출한다. 배당성향 = 배당금 / 당기순이익 보통은 백분율로 표기하기 때문에 100을 곱해서 퍼센트(%)를 붙이면 기업 분석에서 볼 수 있는 수치를 얻을 수 있다. 배당은 주주가치 재고를 위해 정말 중요한 정책이다. 주주는 기업에 투자하고 기업은 남은 이익을 주주들에게 돌려주는 개념이니 당연하다. 개인적으로 배당을 안 주는 기업은 투자할 의미가 없다고 생각할 정도이다. 배당성향은 배당수익률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지표다. 배당수익률은 주가와 관련이 있겠지만 배당성향은 당기순이익과 관련이 있다. 당연하겠지만 기업이 돈을 잘 벌어야 남는 돈이 많고 그래야 주주들에게 배당을 많이 줄 수 있다. 고배당을 좋아한다면 당연히 높을수록 좋은 지표다. ..

경제상식 2022.05.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