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식

가이던스, 포워드 가이던스

낡은사람 2022. 7. 28. 11:05
반응형

가이던스(guidance)

지도, 지침,  인도라는 본래의 의미와 비슷하게 경제계에서는 전망치를 의미하는 용어로 쓰인다. 즉 기업의 가이던스라고 한다면 기업이 다음에 발표할 실적의 전망치를 의미한다.

포워드 가이던스(forward guidance)

선제 안내, 향후 지침 등의 의미다. 쉽게 말해서 가이던스보다 더 미래의 가이던스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중앙은행 등에서도 "장래의 통화 정책 방향"을 공표하는 의미로 쓰이지만 이 외에도 시장과의 소통이나 경제 주체의 장래의 금리 수준에 대한 예측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통화 정책 수단의 이름이기도 하다. 쉽게 말해서 기자회견 등으로 미래의 정책 방향을 설명하고 질문을 받는 그런 행사를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기업이 실적을 발표하면서 향후 예상 실적을 가이던스 형태로 발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가이던스에 의해 주가는 미리 선반영 되기도 하는데 심지어 나쁜 가이던스가 발표되면 주가가 폭락하기도 한다. 하지만 선반영으로 향후 충격을 미리 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쁜 가이던스도 좋은 의미가 있을 수 있다.

가이던스는 기업 뿐만 아니라 여러 경제 관련 정부 부처나 은행 등에서도 쓰인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에서는 기준금리에 대한 가이던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어쨌든 향후 예측치를 의미한다는 점에도 동일한 용도로 쓰이는 셈이다.

반응형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롤오버란?  (0) 2022.08.02
ETF, ETN, ETP는 무엇일까?  (0) 2022.07.29
여전채  (0) 2022.07.24
지준, 지급준비제도, 지급준비금, 지급준비율  (0) 2022.07.23
금리, 기준금리란?  (0) 2022.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