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당성향은 배당을 얼마나 줄지를 의미하는 지표로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도출한다.
배당성향 = 배당금 / 당기순이익
보통은 백분율로 표기하기 때문에 100을 곱해서 퍼센트(%)를 붙이면 기업 분석에서 볼 수 있는 수치를 얻을 수 있다.
배당은 주주가치 재고를 위해 정말 중요한 정책이다. 주주는 기업에 투자하고 기업은 남은 이익을 주주들에게 돌려주는 개념이니 당연하다. 개인적으로 배당을 안 주는 기업은 투자할 의미가 없다고 생각할 정도이다.
배당성향은 배당수익률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지표다. 배당수익률은 주가와 관련이 있겠지만 배당성향은 당기순이익과 관련이 있다. 당연하겠지만 기업이 돈을 잘 벌어야 남는 돈이 많고 그래야 주주들에게 배당을 많이 줄 수 있다.
고배당을 좋아한다면 당연히 높을수록 좋은 지표다. 하지만 배당은 취향이나 관점에 따라 선호가 크게 갈릴 수도 있어서 무조건 좋은 거다라고 하기는 힘들다.
반응형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생시장과 주가 (선물, 옵션) (0) | 2022.06.03 |
---|---|
배당수익률이란? (0) | 2022.05.28 |
부채비율이란? (0) | 2022.05.27 |
유보율, 사내유보율이란? (0) | 2022.05.25 |
ROE (Return on Equity) (0) |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