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채권 5

통안채, 통안증권이란?

통안채, 통안증권 통안채 혹은 통안증권은 통화안정증권을 축약해서 부르는 이름이다. 통화안정증권 통화안정증권은 한국은행이 시중에 통화를 공급하거나 회수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통화 가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한다. 이 채권을 발행해서 시중의 통화를 흡수하고 혹은 반대로 채권을 회수하면서 시중에 통화를 공급하는 형태로 통화 가치를 안정화시켜서 물가나 환율을 안정화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기능이나 특징적인 면에서 환매조건부채권(RP)과 겹치는 부분이 좀 있어 보인다. 근데 이 둘을 별개의 채권으로 볼 필요는 없을 수도 있다. 통안채를 RP 형태로 발행하면 사실상 같아지니 말이다. 다만 그냥 생각일 뿐이고 실제는 어떤지 확인이 필요할 것 같다.

경제상식 2022.08.10

환매조건부채권(RP)은 무엇일까?

환매조건부채권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채권으로 환매조건부 즉 다시 사들이는 것을 조건으로 하며 대신 확정 금리를 주는 채권이다. 여기서 확정금리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바로 기준금리다. 한국은행이 결정하는 기준금리는 7일 만기 환매조건부 채권의 금리를 의미한다. RP RP는 환매조건부채권을 의미하며, 환매조건부채권의 영문명 repurchase agreement를 조합한 Repo를 또 축약한 용어다. 환매조건부채권이라는 이름이 길고 발음도 어려우니 보통은 RP로 더 많이 불린다. RP의 초단기 만기 특징을 이용해 단기 투자 목적으로 활용된다. 대표적인 것이 증권사에서 개설할 수 있는 CMA RP계좌다. 물론 채권이기 때문에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지만 중앙은행이 발행하기 때문에 부실해질 확률은 사실상 0이다...

경제상식 2022.08.07

여전채

'여전채'는 여신전문금융회사채의 약자로 카드론 및 캐피털 리스 용도의 자금 조달 목적으로 발행되는 채권이다. 그래서 "카드채" 혹은 "캐피탈채"라고도 불린다. 참고로 '여신(與信)'은 대출(loan)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반대의 의미로 예금 상품 등을 의미하는 '수신(受信)'이라는 용어가 있다. 카드사나 대부업체의 자금 목적이기 때문에 여전채의 금리는 카드론 등 각종 대출 상품의 이자와 연관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당연하게도 여전채 금리가 오르면 카드론 대출도 오르는 이런 식인 것 같다. 물론 여전채도 채권이기 때문에 직접 투자 대상 혹은 거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경제 신문에서 여전채와 관련된 소식을 종종 접할 수 있다. 발행량이 무지막지한 데다 신용도도 각자 제멋대로라 투자할 때는 주의가..

경제상식 2022.07.24

금리, 기준금리란?

금리 (Rate) 금리의 직접적인 의미는 이자율 정도를 의미한다. 은행 등의 각종 대출이나 예금 상품도 년(year) 단위의 금리 정보를 제공한다. 특정한 금융 상품을 언급한 경우가 아니라면 아래의 "기준금리"를 줄여서 표현하는 용어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 기준금리 (Base Rate) 기준금리는 일반적으로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초단기 채권의 금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의 7일물 환매조건부채권이 있다. 보통 증권사 CMA 계좌에서 많이 언급되는 RP라 불리는 그 상품이다. 기준금리가 중요한 이유는 중앙은행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할 때 발행하는 채권의 금리이기 때문이다. 이를 기반으로 사업을 하는 금융업의 경우 기준금리가 상품 이자율의 기준이 될 수밖에 없다. 즉 여신(대출 등) 금리와 수신(예금..

경제상식 2022.07.22

하이일드채권이란?

하이일드 채권(High Yield Bonds)은 신용등급이 낮은 채권을 의미한다. 부도 위험이 있는 대신 쿠폰 금리가 높은 편이다. 신용 등급의 변화나 부도 가능성에 따라 거래 가격이 달라질 수도 있다. 정크 본드(Junk Bonds)라고 불리기도 한다. 당연하겠지만 경기가 후퇴하는 상황에서는 파산하는 기업도 늘어나기 마련이다. 경기가 좋지 못할 때 하이일드채권 투자는 상당히 위험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물론 이럴 때일수록 높아지는 쿠폰 금리를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도 가능하기도 해서 투기 성향이 없는 것은 아닐 것 같다. 더구나 요즘 같은 폭락장에서는 오히려 하이일드 채권이 더 안전할지도 모른다는 심리도 있다. 부도라는게 그렇게 쉽게 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안전하게 투자하려면 당연히..

경제상식 2022.06.13
반응형